어쨌든 술이 몸에 해롭다는 건 사실이다
술이 몸에 해롭다는 건 이제 객관적인 사실이다.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술을 많이 마시고 있다. 그리고 술을 마신다는 것에 아무런 꺼리낌이 느껴지지도 않는다.
그렇다면 전세계 대표 반음주가(?)와 비슷할 것 같은 작자로써는 또 글을 하나 싸질러야 할 것 같다. 주제는 식상하게도 술이 몸에 해롭다는 거다.
다들 술은 발암물질이라는 건 알고 있는 것 같다.
술은 국제암연구소(IARC)에서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다.
발암물질로 가장 위험한 평가를 받는 물질 중에 술이 포함되어 있다. 술은 대사 과정에서 아세트알데히드가 생성되는데 이는 DNA의 복제를 방해하거나 파괴할 수 있는 물질이라고 한다. 거기다 알콜 자체가 인체에 흡수된 발암물질을 녹여 점막이나 인체 조직에 쉽게 침투시키도록 돕는 물질이라는 것도 찾을 수 있었다.
결과적으로 술은 두경부암, 식도암, 간암, 유방암, 대장암, 췌장암 등등 아주 많은 암을 일으킨다. 굉장히 많은 암을 일으키는데 결국 술이 닿는 모든 부위에 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말일 거다.
아마도 이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. 그럼에도 술을 마시는 사람이 많은 것을 보면 상당히 외면 받고 있다는 것 개인적인 느낌을 뿐일까?
우리 몸이 술을 좋아할 리가 없다.
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에는 '암'만 있는 게 아니다.
과음은 직접적으로 고혈압을 유발한다. 그밖에 다수의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. 부정맥이나 심근병증, 뇌졸중 등 듣기만해도 치명적인 그런 병들 말이다.
거기다 술은 간을 망가뜨리는 주범이다. 간은 술을 해독하지만 그래서 간이 혹사 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간경변과 간암 등을 일으킬 확률을 높인다.
심지어 술은 대뇌와 해마를 위축시켜 뇌 기능 저하까지 유발하고 뇌세포를 직접적으로 파괴하기도 한다. 머리를 써야 하는 직종이거나 공부를 해야 하는 사람에게 크나큰 패널티를 안겨준다는 말일 거다.
이 외에도 구토나 설사 유발, 영양분 흡수 방해로 인한 영양결핍, 수면 장애, 정신 건강 문제, 비만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한다. 그리고 혈중 요산 수치를 높여 통풍을 유발할 수도 있다. 거기다 최근에는 장 내 미생물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 또한 알려지고 있기도 하다.
결국 우리 몸은 결코 술을 좋아할 리가 없다. 그저 술을 좋아하는 건 뇌의 극히 일부분(?) 뿐일 것 같다. 그럼에도 사람들은 술을 그렇게나 마신다.
소량의 술은 심혈관계에 도움이 된다고 하잖아?
최근 학계는 소량의 음주도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지지한다.
문제는 이 '소량의 술은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'라는 이상한 설 때문일 지도 모르겠다. 음주를 위한 핑계거리로 종종 쓰이던 말이니 말이다.
어쨌든 실제 이것과 관련된 연구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고 해당 연구 결과로 소량의 음주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 또한 널리 퍼지게 되어버렸다.
불행히도 최근 이 설은 틀린 것으로 정정되고 있다. 비음주자의 분류가 자의적인 등 샘플 편성에도 큰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원래의 연구 조차 객관성이 크게 떨어진 상태다. 거기다 샘플 분류 문제를 빼더라도 해당 연구의 기간을 길게 늘리면 오히려 반대의 결과를 얻게 된다는 다른 연구 결과도 있다.
즉 소량의 술도 몸에 해롭다는 이야기다. 그럼에도 사람들은 술을 그렇게나 마신다.
결론 및 여담
술은 무조건 몸에 해롭다.
사실 이 글을 쓰는 작자가 반음주가(?) 처럼 보이는 이유는 그저 알콜 알레르기로 인해 술을 한 방울도 마실 수 없는 처지라는 점이 주요 원인일 것 같다. 하지만 그 덕분에 보통 사람들이 술을 얼마나 많이 마시는 지를 잘 파악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. 소량이라 부르는 양도 이런 작자가 보기엔 많이 마시는 것과 다름 없으니 말이다.
어쩌면 사교 활동에 음주를 꼭 넣는 문화나 음주를 용인하는 사회적 분위기 자체가 더 문제일 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.
마지막으로 이 한 마디는 해야 할 것 같다.
남에게 술을 강요하는 행위는 범죄다.
이 인용을 지금껏 도대체 몇 번이나 썼는지 기억 조차 안 난다.